안녕하세요. 여기계신 분들에게 조언을 구하고자 글을 올립니다. 지난번에 자기소개에서도 언급했던 저희 투자사중 SaaS나 구독형모델 비즈니스를 위한 실적Metrics(MRR, ARR, Churn rate)등을 비쥬얼화 해주는 Baremetrics(
데모링크)가 있습니다. Stripe연계가 강점중의 하나였지만, Stripe가 한국에 진출하지 않은 관계로 한국시장에 대해 소극적인 자세였는데, 최근 API연계나 매뉴얼입력으로 이용하기 시작한 한국고객들이 조금씩 늘어나고 있습니다.
여기서 질문은 로컬라이징입니다. 서비스 자체가 SaaS Metrics를 보여주기 때문에, 오히려 영문그대로 기재하는게 나을 것 같으면서도, 그래도 한국고객분들을 위해 한국어표기를 해야하는가 하는 고민이 있습니다. 단, CAC생각했을때 홈페이지의 한국어화는 고려하고 있지 않고, 제품의 한국어화만 고려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일본시장에서는 영어알러지가 심해서 이미 일본어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SaaS비즈니스 하시는 분들도 많을거 같아 여쭈어봅니다. 한국의 SaaS저변 확대를 위해 한국어화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시면 🇰🇷, MRR은 MRR이지 월간순환매출 또는 월간반복매출은 이상하잖아라고 생각 되시면 🇺🇸를, SaaS Metrics는 영문표기이지만 설명이라도 한글이면 좋겠다라고 생각하시면 😛ride: 클릭해주세요. 물론 리플로 상세한 어드바이스도 대환영입니다.